본문 바로가기

2014 C/3월

2014.03.06

기본형

 

 

 


 

#include <stdio.h>
int main()

{

printf("\n");

return 0;

}
 
  

 

 

 

 

첫번째 문단 # ( 전처리 과정 )

 

include <stdio.h> stdio.h를 포함시키다.

 

int main() 정수형 함수 호출

 

printf("\n"); printf앞에 int가 생략되어있다.

출력하는 함수 호출 

 

return 0; 반환값이 없다.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*함수를 호출할 때의 기본

void     Function ( int a, int b );

반환형 함수이름 ( 매개변수 1, 매개변수 2);

 

-출력함수인 printf("");는 ""안에 출력하고픈 문자를 쓴다.

-리눅스에서는 printf("");의 ""안에 \n을 입력하지 않으면 문자가 나타나지 않는다. (Dos에서는 나타남)

\n이란? 줄바꿈명령어

 

 

 

 

 

운영체제에 따른 텍스트 파일 방식

엔터시 한줄바꿈을 라인피트라고 하며 줄바꿈시에 커서가 첫문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캐리지리턴이라 한다.

-라인피트와 캐리지리턴을 한개로 취급하느냐, 아니냐에 따라 달라진다.

 

 

▲리눅스에서 작업한 c파일을 윈도우에서 메모장으로 열었을때

 

 

-테스트 때에 확인은 못 했지만 Dos에서 작업한 텍스트파일을 리눅스로 옮길때엔 ^M이라는것이 나타난다.

 

*둘다 컴파일에 지장은 없지만 줄 수가 많아질수록 시각적으로 불편

 

 

 

 

 

주석사용

 

코딩의 설명을 쓰는 것, 작성자 혹은 같은 팀원들이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.

- /* */ or //

/* */주석 사이에 쓰이거나 //뒤에 쓰인 단어는 전처리에서 삭제된다.



-메모장으로 c를 작성하고 /* */를 이용하여 주석을 쓴 모습




-Dos에서 cl /p c파일을 쳐서 전처리파일을 생성 후의 모습






 


형식지정자





- %d의 d는 10진수의 d

- %o or %x 로 바꾸면 각각 8,16진수로 나타난다.



*16진수 %x 할때에 소문자일때는 영문문자도 소문자로 나타나며 %X같은 대문자일때는 영문문자도 대문자로 나타난다.


 

 


'2014 C > 3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언어]8진수,16진수의 표현  (0) 2014.03.12
[C언어]scanf 입력함수  (0) 2014.03.12
2014.03.07  (0) 2014.03.07
2014.03.04  (0) 2014.03.04
2014.03.03  (0) 2014.03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