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4 C/4월

2014.04.09

솔♡ 2014. 4. 9. 10:24



SRAM

DRAM


1) 집적()[―]

[명사][하다 타동사][되다 자동사] 여서. .

집적병폐./자본 기술 집적 제품 생산 내다.

 

 

2) 집적도

집적도는 다른 말로 표현해서 집적율(압축률).

 

 

* DRAM의 집적도는 SRAM의 집적도의 4배이다.

 

=>SRAM 방식으로 1 bit의 저장 공간을 만들려고 하면...
칩의 공간 또는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의 갯수가 4개가 든다면,

DRAM 의 경우에 1 bit의 저장 공간을 만드는데
칩의 공간 또는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의 갯수가 1개가 든다는 말.


즉 같은 용량의 RAM을 만드는데

SRAM 방식이 4배의 공간이나 트랜지스터 양이 필요로하게 된다.


이런 경우 칩의 사이즈도 커지고, 용량당 단가도 높다.

하지만 SRAM의 경우 고속으로 동작한다.

 


<DRAM과 SRAM 비교 정리>

  • DRAM(Dynamic RAM : 동적램)
    -. 처리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한다.
    -. 콘덴서에 전하를 축적시켜 정보를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된 내용을 ․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충전 회로가 필요하다.
    -. 소비 전력이 적으며 집적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다.
     
  • SRAM(Static RAM : 정적램)
    -. 플립플롭(Flip-Flop)회로를 사용한다.
    -.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한 기억된 내용이 유지되므로 재충전이 필요 없다.
    -. 처리 속도가 빨라 캐시(Cache) 메모리에 사용된다.
    -. 소비 전력이 높으며 집적도가 낮고 가격이 비싸다.

***
전원이 공급되는 한 지속적으로 기록된 자료가 유지되는 제품은

SRAM ( Static Random Access Memory ) 이라 하며,

전원이 계속 공급되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방전되어 기록이 지워지는

DRAM (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) 이라 한다.

Ram은 전기 신호에 의해서 기록과 삭제를 하기때문에 보조기억장치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다...

DRam----------------->

DRAM은 refresh² 작업을 통해 기록된 자료를 유지하기 때문에, 속도가 매우 느리다(60~80ns¹).  반면 DRAM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재는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, 동일면적에 대한 집적도가 높아 MB이상의 대용량으로 자료를 기록할 수 있다.  DRAM은 가격 대비성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컴퓨터의 작업공간으로 사용되는 메모리는 모두가 DRAM을 사용한다.  DRAM은 refresh 주기와 작동방식 등에 따라 EDO, Synchronous, Rambus, DDR 등으로 분류된다.

 

참고1:ns(nano second)= 10분의 1의 속도를 말함...

참고2:refresh=  DRAM에 기록된 자료가 지워지지 않도록 일정주기로 다시 기록해주는 작업

SRam-------------------->

refresh  작업이 없는 램이기때문에 Dram보다 속도가 빠르다...

 SRAM은 DRAM보다 속도가 월등히 빠른 반면에, 동일면적에 대한 집적도가 매우 낮아 KB 단위의 소 용량으로만 자료를 기록할 수 있다.  또한 소재가 되는 반도체의 제조 원가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가격대비 성능은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다.  따라서 SRAM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DRAM 사이에서 속도편자를 줄여주는 레벨 2 캐시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내장된 레벨 1 캐시와 같은 소량의 고성능 부품위주로 사용


SDRAM -싸구려도 아니고 고급도 아닌 어중간한거



ROM - 백지상태에서 한번 메모리를 등록하면 그 후로는 다시 등록할 수 없다.

(강한자외선을 조금 지속적으로 쐬면 데이터가 지워진다.)

->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지울 수 있게 개선되었음.


--

volatile (휘발성)



CISC

RISC

CISC복잡한 명령어 집합를 갖는 CPU 아키텍처이다. 명령어가 복잡하기 때문에 명령어를 해석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, 명령어 해석에 필요한 회로도 복잡하다. 보통 풍부한 어드레싱 기능을 갖추고 있어 명령의 직교성이 좋으며, 어느 어드레싱 모드에서도 임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. 연산에 대해서는 레지스터와 레지스터 연산, 레지스터와 메모리 연산, 메모리와 메모리 연산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.


RISC는 CPU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으로,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며, SPARC, MIPS 등의 아키텍처에서 사용된다. 전통적인 CISC CPU에는 프로그래밍을 돕기 위한 많은 수의 명령어과 주소 모드가 존재했다. 그러나 그중에서 실제로 쓰이는 명령어는 몇 개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바탕으로, 적은 수의 명령어만으로 명령어 집합을 구성한 것이 RISC이다. 





 

칩 컴파일






make로 컴파일 파일을 생성



Dos창에서 영어들이 좌르륵나오고 make가 실행되어 파일이 생성된 모습



make clean으로 컴파일 파일을 삭제




 

C

구조체




1.첫방법 


+주소


(메모리공간이 비효율...-버리게되니까)







2.두번째는 용량에 맞게 자료형을 선언하는 것...

(효율적이긴함)







3. 세번째 방법

(효율적)

+주소


+주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