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력! 지금까지 수업중에 사용했던 다섯가지 출력방법을 사용했다! 여기서 젤 주목해야 할거 같은건 ㅋㅋ... 12번째 줄의 ("%d\n",*ip);!요건 포인트형 변수 ip의 값에 저장된 값을 따라가라는 말(?)이다!!지금 6번째줄에 보면 ip포인터에 저장된건 iNum의 주소값! 그 값을 따라가면 iNum 의 메모리값이나오게 되겠지?그렇다면 12번째 줄에서 출력되는것은 이렇게 값이 출력되었다!! 값을 확인하고 다시한번 코드를 확인하잣! 요렇게 값을 따라간다고 생각 하면 된다! 더보기 ㅠㅠ형식 1. %d : 10진수로 출력 정수형 2. %f : 실수형 3. %e : 지수형 4. %o : 8진수로 출력 5. %x : 16진수로 출력 6. %u : 부호없는 10진수로 출력 7. %g : 실수형으로 자동 출력 8. %p : 포인터의 주소를 출력 9. %c : 하나의 문자로 출력 문자형 10. %s : 문자열을 출력 그런데 %1u , %3u 이런건 뭐지???-> %1u 이런것은 빈칸 확보를 뜻한다 &6u 이러면 ' ' ' ' '2'5' 이런식으로 출력한다 11. %08x : printf문으로 %08X는 8자리까지 16진수로 ucp를 출력 시킨다는 것이다.->%08x의 8은 8개의 공간을 할당받는다는 뜻 %08x의 0은 0으로 패딩한다는 것을 뜻함 더보기 2014.03.18_2 11번째 줄 iAddr = &iNum; 을 했을때에는 warning이 컴파일시 나타나게 된다.이는 정수형 int(iAddr)에 int *(&iNum)형식의 값을 넣으려 하여 그렇게 된다. 그렇기에 캐스팅으로 int *을 int형으로 수정하였다. ->이미지 잘못됨...위의 70은 74로밑의 74는 6C로0밑의 12FF70 은 12FF6C로.. 15번째줄의 0x12FF74에 1000을 대입하면 어떻게 될까?11번째줄을 보면 iAddr의 메모리값에 iNum의 주소값 즉 12FF6C을 넣었다. iNum의 주소값이 12FF6C이며 iAddr의 메모리값이 12FF6C이 된것, 출력화면 더보기 이전 1 ··· 31 32 33 34 35 36 37 ··· 41 다음